한솔아카데미 로고

전체메뉴
토목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토목(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3장 보의 휨설계 질문합니다.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토목(산업)기사필기 시리즈 종합반 > 고길용
글쓴이 김*늘 등록일 2020.01.03 답변상태 답변완료
  • p81

    6번에서 0.43+Fy/700을 곱할 때 즉 고강도 철근을 사용하게 되면

    최소 두께가 두꺼워지므로 처짐에 불리해진다는 것은 식을 통해 알겠습니다.

    근데 일반적인 생각으로는 고강도 철근이 있으면 처짐이나 균열에 강할 거라는 생각이 드는데,

    왜 고강도 철근이 처짐이나 균열에 더 불리해지는거죠?

     

    p88

    38번 해설에서 허용번형률에 상응하는 강도감도계수를 사용한다고 했는데,

    이 강도감도계수 0.783이 어디로부터 나온건지 궁금합니다.

     

    p89

    41번에서 유효한 철근량을 구하라고 했는데,

    유효한 철근량을 구할 때 해설처럼 최대철근비를 이용해야 하는건가요?

    왜 최대철근비를 사용하는지 모르겠습니다.

  • 고길용 |(2020.01.07 18:38)

    안녕하세요~ 고길용입니다.

    1. 고강도를 사용하게 되면 일반적으로 단면이 작아지게되므로 강도에는 문제가 없지만 단면2차모멘트가 감소하게 되므로 휨강성이 작아지는 문제를 일으킵니다.

    2. 최대철근비가 항복강도 400인 철근의 경우는 균형철근비의 0.714인것은 알고계시지요~ 즉, 철근항복변형률 0.002의 2두배인 0.004에 도달하게하는것이 최대철근비입니다. 따라서, 이때의 강도감소계수는 0.64+(0.85-0.65)/(0.005-0.002
    )*(0.004-0.002)=0.7833333이 됩니다.한번 계산해보시고요~

    3.유효한 철근량이란 결국 규정상 쓸 수 있는 철근량이므로 최대로 쓸수 있는 유효한 철근량은 최대철근량이지요~~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