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전체메뉴
토목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토목(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수리학질문드립니다.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필기_수리학 및 수문학 > 한웅규
글쓴이 염*석 등록일 2020.01.10 답변상태 답변완료
  • 14년 4회 6번에서 h1을 사류수심 h2를 상류수심이라고 하잖아요???

     

    그런데 15년 2회 11번문제에서 하류 수심을 구하면서 윗 공식을 쓰는데 

     

    왜 저공식을 쓰는지 모르겠습니다. 저 상류가 위 아래 를 뜻하는게 아닌건 알고 있는데..

    아무튼 잘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그냥 Q=AV 

                    Q=A* 2gh^0.5  이렇게 해서 풀면 안되는건가요?

  • 한웅규 |(2020.01.10 18:26)

    안녕하십니까 수리수문학을 강의하고 있는 한웅규입니다.

     

    도수란 댐을 월류하는 물의 흐름이나 수문에서의 유출수의 흐름은 일반적으로 사류이고, 하류의 상류와 충돌하여 수면의 급격한 상승과 함께 소용돌이를 일으키는데 이처럼 사류가 상류오 변화할 때 일어하는 현상을 도수라고 하며 도수에서는 큰 에너지 손실이 발생되므로 에너지 감쇄의 목적으로 이용되기도 합니다.

     

    대부분의 저수지는 댐 건설로 인해 형성되며, 일반적으로 저수지에 공급되는 하천유수의 양은 변화가 심하게 되는데 저수지가 만수되기도 하고 초과하는 경우도 있으며 이때 잉영수는 저수지로부터 안전한게 방류되어야 합니다.

     

    많은 경우 단순한 방법으로 물을 댐 위로 월류토록할 때 구조물의 붕괴를 초래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이유때문에 주의깊게 설계된 월류수 통로들이 댐 설계의 한 부분으로 고려되며 이를 여수로라고 합니다.

     

    결과적으로 여수로에서의 하류수심 또한 도수후의 수심공식을 대입하여 구하셔야 합니다.

     Q=AV   Q=A* 2gh^0.5 질의주신 공식은 베르누이방정식을 응용하여 완전유체를 기준으로 하여 이론적으로 해석가능한 공식이므로 실제 여수로내에서의 하류수심을 구할 수 없습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