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수리수문학을 강의하고 있는 한웅규입니다.
도수란 댐을 월류하는 물의 흐름이나 수문에서의 유출수의 흐름은 일반적으로 사류이고, 하류의 상류와 충돌하여 수면의 급격한 상승과 함께 소용돌이를 일으키는데 이처럼 사류가 상류오 변화할 때 일어하는 현상을 도수라고 하며 도수에서는 큰 에너지 손실이 발생되므로 에너지 감쇄의 목적으로 이용되기도 합니다.
대부분의 저수지는 댐 건설로 인해 형성되며, 일반적으로 저수지에 공급되는 하천유수의 양은 변화가 심하게 되는데 저수지가 만수되기도 하고 초과하는 경우도 있으며 이때 잉영수는 저수지로부터 안전한게 방류되어야 합니다.
많은 경우 단순한 방법으로 물을 댐 위로 월류토록할 때 구조물의 붕괴를 초래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이유때문에 주의깊게 설계된 월류수 통로들이 댐 설계의 한 부분으로 고려되며 이를 여수로라고 합니다.
결과적으로 여수로에서의 하류수심 또한 도수후의 수심공식을 대입하여 구하셔야 합니다.
Q=AV Q=A* 2gh^0.5 질의주신 공식은 베르누이방정식을 응용하여 완전유체를 기준으로 하여 이론적으로 해석가능한 공식이므로 실제 여수로내에서의 하류수심을 구할 수 없습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