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전체메뉴
토목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토목(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설계단원 질문있습니다.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토목기사 프리패스반(1년) > 고길용
글쓴이 이*은 등록일 2020.02.03 답변상태 답변완료
  • 철근콘크리트 6.2 기둥의 설계에서 질문이 있습니다.

    1.페이지 168쪽에 보면 중심축하중을 받는 경우와 압축력과 휨을 받는 경우 두경우로 나뉘는데 문제를 보고 두 경우를 어떻게 구분해야 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단순히 문제 그림에 편심거리가 주어진것을 판별해야 하나요? 예를 들어 핵심문제 8,10번은 e가 그림에 없고 문제 12번은 e가 그림에 주어져 있습니다. e가 주어지는지 떠나서 위의 두 경우를 구분할 수 는 없나요?

    2. 편심이 단면의 면적을 넘어가는 경우도 있던데 맞나요? 이 경우가 잘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그럼 Pn이 기둥의 단면을 벗어나서 작용했다는 말인데 이 뜻이 그냥 Pn과 편심거리(e)를 곱한 모멘트로 해석하기 때문에 그렇게 표현한것인지 아니면 정말 Pn이 단면을 벗어난 곳에 작용했다는 말인지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 고길용 |(2020.02.03 18:01)

    안녕하세요~ 고길용입니다. 좋은 질문이십니다.

    1. 중심축하중과 압축력과휨을 받는 경우는 말그대로 힘이 중심에 작용할다는 가정에서 기둥의 압축하중(능력)을 구하는 것이고, 편심을 받아서 모멘트가 걸리면 그둥의 능력이 급감소하게 되는데 이때의 축하중(능력)을 구하라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기사문제에서는 '편심'이라는 말이 있으면 후자의 경우로 이해하시면 문제 없을것입니다.

    2. 편심의 경우 기둥단면 밖에다 주는 경우도 있습니다만 이것은 실제 단면밖에 힘이 작용한다기보다는 편심이 있다는것 (그림단면 안에다 표현하면 복잡해져서)을 강조한 것이다라고 이해하심이 좋을듯 합니다. 그리고, 실무적인 입장에서는 모멘트가 많이 걸리는 기둥의 경우(보의 모멘트가 전달되어)는 편심이 엄청 크게되므로 단면을 벗어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