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CA구간에서 C는 자유단이고 A는 지지단이 있는 형태이므로 캔틸레버보로 간주하여 CA구간내에 작용하는 수직분포하중에 대해 A절점은 반시계고정단모멘트로 간주합니다.
반면, AB구간내에 작용하는 수직하중 2t에 대해 A절점은 반시계방향의 고정단모멘트, B절점은 시계방향의 고정단모멘트가 발생합니다.
B절점의 계산값이 -4.25가 계산되었는데 이것은 절점 B의 회전방향이 반시계임을 뜻하고, 만약 B점의 휨모멘트를 물어보았다면 아래로 휘어지는 +(정)휨모멘트가 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