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고길용입니다. 좋은 질문입니다.
강의중에 이런 문제때문에 부연설명을 드렸습니다. 9장 프리스트레스의 도입과손실 핵심문제 강의 22분부터 다시 시청해주시고 답글을 읽어주시면 이해가 빠르실겁니다. 시청하시고..... ㅎㅎ
자~ 마찰손실은 말씀드린데로 도입하기 전, 긴장할때 부터 생기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문제의 경우는 1000으로 긴장(당겼지만) 마찰로인해 실재 pc강선의 긴장력은 감소하지요~ 그래서 구하는 방법은 1000÷(1+μα+κl)로 해야합니다.
즉, 1000/(1+0.134)=881이 되고~ 정리해보면 기계(잭)는 1000으로 당겼지만 마찰곡률로 pc강재의 긴장력은 881로 초기도입 값이 되고 이제881에서 탄성수축,정착장치 활동이 일어나며 시간이 흐르면 건조수축, 크리프, 릴렉세이션이 일어납니다. 이해가 되시지요~~
교수님, psc 마찰 손실에 대한 질문에 대해 자세하게 답변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교수님 글을 읽고 강의를 다시 보고 왔습니다. Psc의 포스트텐션 손실 중에서도 마찰 손실은 긴장재를 당길때부터 손실이 일어나므로 6개의 손실 중 가장 먼저 일어난다는 것을 다시 한 번 생각하고 이해하였습니다. 마찰 손실이 일어난 긴장력이 탄성변형 및 나머지 손실에 영향을 준다는 것은 제가 잘 몰랐던 부분인데 교수님의 친절한 답변을 읽고 이해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여기서 한 가지 궁금한 점이 더 있습니다 ^^
아래 두 문제 모두 마찰 손실에 관한 문제인데 B에서의 긴장력을 구하는 공식은 왜 서로 다른가요? 지점이냐 아니냐에 따라서 다른 공식을 써야하는 건가요? 교수님께서 너무 이해가 잘 되게 답변해주시는데 제가 잘 못 알아듣고 재질문을 해 귀찮게 해드려 죄송합니다. 알려주시면 열심히 배우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