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전체메뉴
토목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토목(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수리학 베르누이 정리에 대해 질문 드립니다.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필기_수리학 및 수문학 > 한웅규
글쓴이 김*혜 등록일 2020.02.13 답변상태 답변완료
  • 교수님, 안녕하세요. 부체에 대해 알려주신 내용 다시 한 번 더 생각해보고 완벽하게 이해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흐름의 방정식 강의에서 베르누이 방정식을 구하는 그림과 피토관에 대해 설명해주실 때 그려주신 그림에서 이해 안되는 부분이 있어 질문드립니다. 압력 수두를 알기 위해 유체 속에 관을 넣으면 관을 넣은 부분의 압력만큼 물기둥이 올라오는데 이런 방법으로 어떻게 압력을 측정하는 건가요? 대기압을 측정할 때 수면에 위 아래 뚫린 관을 넣으면 관의 밖, 안에 대기압이 작용해서 물의 높이는 수면과 일치하는 반면 위쪽이 막혀있는 관을 넣으면 압력차에 의해 대기압의 크기만큼 유리관 속의 물이 올라간다는 개념을 가지고 이 부분을 보니 잘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피토관의 경우도 위, 아래가 뚫려있는데 어떻게 압력을 측정하는 건가요?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한웅규 |(2020.02.14 15:49)

    안녕하십니까 수리수문학을 강의하고 있는 한웅규입니다.

     

    용기속에 밀폐된 물의 수압을 측정하기 위해 가느다란 관의 한쪽 끝을 용기속과 연결하고 다른 끝을 개방하면 물은 용기 내 압력과 대응하기 까지 관내를 상승하다가 멈추게 되는데 이와 같이 관을 연결하고 그 수면의 높이로부터 수압을 알 수 있게 됩니다.

     

    예를 들어 빨대로 음료를 빨때, 그 원리를 생각해보시면 됩니다.

    대기압, 즉 일반적인 기압하에는 컵에담긴 음료에 빨대를 꽂아도 변화가 없습니다.
    하지만 사람이 빨대를 빨때, 즉 공기를 빨아드려 압력을 낮출때 주변 압력보다 빨대 내부의 압력이 낮기 때문에 음료가 빨려 올라가게 됩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