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변]
1. 압축성이 적다(=저압축성)는 것은 하중을 가했을 때 압축 또는 침하가 적게 일어난다는 의미입니다
입경이 보다 작을수록 비표면적이 크고 물을 입자 표면에 달라붙게 해서 물을 보유하는 보수능력이 큽니다
2. 토질공학자들이 다양한 세립토들을 채취해서 무수히 많은 반복시험을 해서 해당흙의 액성한계와 소성지수의 순서쌍을 좌표평면에 표시해 보니까 액성한계 50%를 기준으로 압축성이 달라진다는 것을 알아낸겁니다
이런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를 소성도(=소성도표=Plasticity chart)라고 합니다
소성도에서 액성한계가 50%보다 작은 B선 왼쪽에 존재하는 흙들은 소성이 적은(=압축성 적은) 특성이 있다는 것을 알아냈습니다
님께서 그린 위의 그래프는 압축성의 대소관계를 나타낸 그림이 아니고 함수비의 변화에 따른 흙의 부피와 흙의 상태 변화관계를 나타낸 그림입니다
3. 소성이 적다는 것은 밀가루 반죽으로 예를 들면 덜 찰지다는 의미입니다
소성이 크다는 것은 매우 찰지다는 의미입니다
소성이 적으면 소성이 큰 흙보다 고운입자가 상대적으로 적게 함유되어 있거나 입경이 다소 큰 입자로 구성되어 있어서 하중을 가했을 때 압축 또는 짐하가 적게 일어나는 특성이 있습니다
열공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