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전체메뉴
토목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토목(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통일분류법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토목기사 환급연장반(프리패스) > 박광진
글쓴이 윤*성 등록일 2020.02.15 답변상태 답변완료
  • 안녕하세요 ^^

     

    통일분류법에서 세립토의 분류의 제 2문자 L, C에 대해 여쭤봅니다.

    L 에서

    1) 저압축성이라는 것이 공학적으로 어떤의미인지 궁금합니다.

    2) 또한 액성한계가 50% 보다 작은게 왜 소성이 작은건지 이해가 잘 되지 않습니다.

    소성의 범위가 작아진다는 뜻인지...

    3) 마지막으로 소성이 작으면은 왜 저압축성인지...

    궁금합니다.

     

  • 박광진 |(2020.02.15 19:01)

    [답변]

     

    1. 압축성이 적다(=저압축성)는 것은 하중을 가했을 때 압축 또는 침하가 적게 일어난다는 의미입니다

     

    입경이 보다 작을수록 비표면적이 크고 물을 입자 표면에 달라붙게 해서 물을 보유하는 보수능력이 큽니다

     

    2. 토질공학자들이 다양한 세립토들을 채취해서 무수히 많은 반복시험을 해서 해당흙의 액성한계와 소성지수의 순서쌍을 좌표평면에 표시해 보니까 액성한계 50%를 기준으로 압축성이 달라진다는 것을 알아낸겁니다

     

    이런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를 소성도(=소성도표=Plasticity chart)라고 합니다

     

    소성도에서 액성한계가 50%보다 작은 B선 왼쪽에  존재하는 흙들은 소성이 적은(=압축성 적은) 특성이 있다는 것을 알아냈습니다

     

    님께서 그린 위의 그래프는 압축성의 대소관계를 나타낸 그림이 아니고 함수비의 변화에 따른 흙의 부피와 흙의 상태 변화관계를 나타낸 그림입니다

     

     

    3. 소성이 적다는 것은 밀가루 반죽으로 예를 들면 덜 찰지다는 의미입니다

     

    소성이 크다는 것은 매우 찰지다는 의미입니다

     

    소성이 적으면 소성이 큰 흙보다 고운입자가 상대적으로 적게 함유되어 있거나 입경이 다소 큰 입자로 구성되어 있어서 하중을 가했을 때 압축 또는 짐하가 적게 일어나는 특성이 있습니다

     

     

      

    열공하세요~~

     

     

첨부파일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