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전체메뉴
토목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토목(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철근콘크리트 질문입니다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필기_철근콘크리트 및 강구조 > 고길용
글쓴이 박*규 등록일 2020.02.15 답변상태 답변완료
  • 안녕하세요 교수님! 항상 친절히 답변달아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다.

     

    다름이아니라 제가 허용응력 설계법, 강도설계법, 한계상태 설계법에 대해 차이점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모르겠습니다.

     

    일단 허용응력 설계법이라하면 강도가 항복응력 이하라는 가정하에 선형탄성해석을 하여 자칫하면 불안전측 설계가 될수있는 설계법으로 알고있고(따라서 후크의 법칙이 성립)

     

    강도설계법은 초과하중을 대비한 하중계수와 부재치수 산정과 계산오차 등을 고려한 강도감소계수를 고려하여 극한강도까지 재료가 버틴다는 가정하에 실시하는 설계법으로 알고있습니다.

     

    한계상태 설계법은 안전계수도 고려하고, 극한의 한계상태를 고려한 설계법으로 알고있습니다.

     

    1. 제가 궁금한건 만약 차이점에 대한 문제가 주어진다면 저밖에 어떤 내용을 알아야 풀 수 있을까요?

     

    2. 강도설계법은 단면해석시 비선형 비탄성해석을, 구조해석시 선형탄성해석을 한다고 제 친구가 기업교육을 들으러가서 말해주었는데, 항복강도를 넘었음에도 어떻게 구조해석시에 선형탄성해석이 되는지 잘모르겠습니다.

     

    3. 한계상태설계법에서 한계상태라는게 막연하게만 느껴집니다. 예를 들어서, 한계상태란게 각각 모든 응력들의 극한강도를 고려한다는 것인지, 피로가 최대가 되었을 때를 고려한다는건지 정확한 정의를 모르겠습니다.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혹시라도 너무 길어서 부분만 설명해주셔도 감사하게 생각합니다.

     

     

     

  • 고길용 |(2020.02.17 16:53)

    안녕하세요~ 고길용입니다.

    1. 기사시험에서는 그정도의 차이점을 숙지하시면 충분할 듯합니다.  다만, 한계상태설계법은 신뢰성 이론에 근거하여 확률론적 수학모델을 사용하였다 정도 첨언 할께요~

    2. 단면해석시는 비선형해석이지만 구조해석시 선형이라는 것은 하중이 극한상태로 작용했을때 구조물의 거동은 비선형 거동을 하는 경우도 있지만 선형 거동을 한다고 가정하고 해석한다는 뜻입니다. 쉬운 예로 중첩(겹침)의 원리도 선형구간에서만 성립하지만 구조해석시 거의 성맂한다고 선형으로 가정하는 경우와 동일하다고 보시면 좋을 듯 합니다. 

    3. 구조체의 한계상태는 크게 2가지로,

    첫째 강도한계상태 : 구조체에 작용하는 하중효과가 구조체 또는 구조체를 구성하는 부재의 강도보다 커져 구조체가 하중 지지능력을 잃고 붕괴되는 상태를 말하고,

    둘째 사용한계상태 : 구조체가 붕괴되지는 않더라도 구조기능이 저하되어 외관, 유지관리, 내구성 및 사용성에 매우 부적합하게 되는 상태를 말합니다.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