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수님, 안녕하세요. 단위도에 대해 공부하다가 모르는 부분이 있어 질문 드립니다.
단위도가 어떤 지역 전체에 시간적, 공간적으로 일정한 양의 비가 단위 시간동안 내린다고 가정할 때, 유출된 유량과 시간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라고 이해하였습니다. 그렇다면 문제에서 10mm 단위도에서 단위시간이 2시간이고 단위도의 종거가 0,20,8,3,0 이라는 말의 뜻은 2시간동안 1cm의 비가 전 지역에 균일하게 올 때 0시간~2시간의 유효우량이 0이고 2시간~4시간의 유효우량이 20, 4시간~6시간의 유효우량이 8 ••• 인가요?
20mm 단위도의 유량은 비례가정에 의해 0,40,16,6,0이 되는 것은 이해하였는데 풀이법이 잘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이 부분에 대해 자세히 알려주시면 정말 감사드리겠습니다.
-
한웅규 |(2020.02.22 16:14)
안녕하십니까 수리수문학을 강의하고 있는 한웅규입니다.
단위도란 특정 단위시간 동안 균일한 강도로 유역전체에 걸쳐 균등하게 내리는 단위유효우량으로 인한 직접유출수문곡선이라 할 수 있습니다.
유효강우량이 20mm, 10mm일 경우에는 강우가 단위시간(2시간) 간격으로 내린다는 의미이므로 유효강우량이 20mm일때의 단위도의 종거를 그리시고 단위시간(2시간)이 지난뒤에 10mm일때의 단위로를 그리시면 됩니다
직접유출수문곡선은 단위도의 총 합이므로 그려내신 단위도를 더한 종거의 최대값을 읽어내시면 됩니다.
20mm의 단위도 종거는 비례가정으로 인해 10mm 단위도 종거의 2배가 되게 됩니다.
20mm : 0, 40, 16, 6, 0
10mm : 0, 20, 8, 3, 0
------------------------------
0, 40, 36, 14, 3, 0
따라서 0, 40, 16, 6, 0이 발생하고 2시간 뒤에 10mm에 해당하는 단위도의 종거가 0, 20, 8, 3, 0가 발생하게 되므로 첨두유량은 최대 종거값이므로 40이 됩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