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앞의 이론시간에 단주에서 단면계수 선정할때 짧은쪽 길이가 b 긴쪽 길이가 h라고 설명해주셨는데 핵심예제 4에서 하중 P가 작용할때 x축을 기준으로 하중작용할때 y축을 기준으로 하중 작용할때의 b,h나누는건 이해를했습니다
근데 핵심예제 3번같은 경우 기둥 옆에서 풍하중이 작용할때는 왜 b가 100이고 h가 120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하중이 옆에서 작용해서 y축이 기준이 되어서 그런건가요? 최대응력을 구하려면 오히려 단면계수 Z가 작게되어 h가 100이 되어야되는게 아닌가 헷갈립니다..
안녕하세요,,,
그림상에서 기둥 단면이라고 한다면 수직하중 P가 작용하는 곳을 위에서 바라보고 크게 확대한 그림이 될 것입니다.
삼각형으로 표현된 등분포하중은 기둥에 수평으로 작용하므로 단면의 상황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닌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결부시키는 것에 따른 혼란 정도로 보여집니다.
이게 잘 구분이 안되신다면 단순히 시험을 대비하기 위해서 짧은쪽*긴쪽의 제곱 이라고 강제로 기억하시는 쪽이 유리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