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320페이지 20번의 그림에서 C점은 힌지절점이 아니라 C점에서 회전력이 작용하고 있다는 표현을 하는 것에 불과합니다.
국가시험에서 가끔씩 이런 그림상의 실수가 나옵니다.
지금 이 보는 외팔보(=캔틸레버보)라고 분명히 문제에서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
이 보가 겔버보가 되려면 AB보 구간내에 한개의 이동지점이 있어야 합니다.
캔틸레버보에 집중하중이 자유단에서 작용하는 것은 너무나 자주 출제되는 내용이어서 암기를 해두어야 하며, 회전하중에 대해서 교재의 해설 동그라미2번이 마음에 들지 않으신다면 공액보를 이용해서 간단히 계산을 하면 그만입니다.
공식을 외워서 문제를 해결하면 편리함을 제공하지만, 일상생활에 별 필요가 없는 공식을 늘 외우는 것이 부담이 될 것입니다.
따라서, 개인적으로는 공액보를 이용해서 -640/EI 의 값이 나오는지를 확인하는 것을 권장해드립니다.
AC구간에 사각형의 탄성하중이 있을텐데 (48*4)가 면적이 될것이고, B점으로부터 (8 + 4/2)=10m의 위치에 있으므로 B점의 휨모멘트에 대한 숫자는 (48*4)(10)=1920이 됩니다. 문제의 조건에서 휨강성계수를 3EI라고 했으므로 1920을 3으로 나누면 640이 됩니다.
다만, 회전의 방향이 반시계이므로 수평의 AB보가 상향처짐을 유발하므로 -640이라는 것만 주의하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