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고길용입니다.
1. 구차공식입니다 즉, L2/2*R=h 이므로 그냥 102/(2*6370)=0.007849km=7.85m입니다.
2. 폐합수준측량 노선별로 오차를 계산해보니 1번노선과 2번노선이 오차가 크므로 1번과 2번의 공통 측량노선 (1)번이 잘못한 것 같다는 뜻입니다.
3.먼저 독치라는 것은 말그대로 읽은 값을 말합니다.
각을 측량할때 여러번 측량해서 평균을 구하는 것이 더 정확하다는 사실은 알고계실겁니다. 따라서 실무에서는 따로따로 6번 측량해서 평균을 구하는 것을 단측법이라고 하고 배각법(반복법)이라는 것은 강의에서도 설명드렸듯이 처음각을 읽고 그눈금을 다시 그대로 가지고 다시 누적해서 읽고 다시 가지고 ........그렇게 6번을 한 최후값을 264도40분28초라고 준것입니다. 그럼 나누기/6만 하면될듯 하지만!
그런데, 처음 시작값이 354도33분28초에서 시작했으므로, 6번 측량을 누적한 총합은 354도...에서 360(0도)지나서 264도....이므로 각의 차이는 270도07분00초 입니다. 나누기 6하시면 45도01분10초가 되지요~
4. 각의 정밀도는 4초/206265초 이고 이 값은 약 1/51566 =약1/50,000입니다.
5.네~ 토목기사를 준비중이시면 평판측량은 제외하셔도 됩니다. 공사나 공무원 시험은 종목에 따라 확인해 보셔야하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