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고길용입니다.
1.
BC와 AD는 평행이라는 조건이 주어지지 않았으니 단정지으시면 안됩니다.
지금 그림에 주어져 있는 각들은 모든 측점에서의 방위각입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 주어진 조건으로 볼 때 방위각과 각 측선의 길이가 주어져 있으므로 측선 마다의 위거와 경거로 구하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폐합 트래버스이므로 첫 측점으로 다시 돌아와야 하므로 위거의 총합과 경거의 총합이 '0'이 되게끔 DA의 위거와 경거를 구하시고 피타고라스 정리로 빗변의 길이를 구하시면 되겠습니다.
2.
망원경의 시거선을 이용하여 수평 거리와 고저차를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측량입니다.
토목(산업)기사 출제경향에서 제외 되었으므로 따로 공부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3.
A1도형을 보시면 좌측 높이는 2m, 중앙선 부근의 우측 높이는 3m로 위 아랫변이 서로 평행하지 않으므로 사다리꼴로 구하시면 안되시고 큰 사디리꼴에서 왼쪽 여백 작은 삼각형을 빼는 방법으로 계산하셔야 합니다.
4.
님의 생각이 맞습니다.
만단위까지 기록이 되는 것이 아닌 천단위로만 표기가 되는 옛날 아날로그식 구적기를 사용 한 것으로 보이며, 가독치는 누적이 되서 표기가 되므로 (1)4,188이라고 생각 하시면 됩니다.
5.
등고선이나 저수량의 체적계산을 할땐 각주공식을 이용합니다
각주공식이란 3면의 면적을 가지고 체적을 구하는 공식입니다.
20번 문제의 같은 경우는 80+90+100의 면적을 가지고 각주공식을 이용하였는데 다음 주어져 있는 면적은 2개 밖에 없으므로 어쩔수 없이 각주공식이 아닌 양단면평균법으로 계산한 문제입니다.
6.
면적 측량에서 부정오차의 계산방법으로 p.222를 참고하시면 이해가 되실 것 같습니다.
7.
넵 맞습니다.
반대로 하셔도 정답은 동일하게 나옵니다.
8.
7번이 아닌 8번 문제 질의 하신 것 같습니다.
No.8+15m라는 것은 '말뚝간의 거리가 20m씩 8개 그리고 15m를 더 가서 B.C(시작점)이 있다.' 라는 뜻 입니다.
9.
구배의 공식은 (높이/수평길이)x100 입니다.
80m라는 숫자는 위에 8번째 질의에서 처럼
측점(말뚝)간의 거리가 20m이므로 측점5~측점1간의 간격은 20mx4(간격)=80m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