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전체메뉴
토목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토목(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압밀 개념 질문 있습니다.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토목기사필기 단기완성 종합반 > 홍성협
글쓴이 최*현 등록일 2021.02.10 답변상태 답변완료
  • 안녕하세요, 교수님! 개념 강의 수강 중 궁금한 점이 몇 가지 있어 질문드립니다.

     

    1. 제 교재에서는 1-200의 3-(2)연성기초와 강성기초의 특징에서 연성기초-모래지반에서의 접지압이 균등하다고 나와있지 않고, '모래의 강도가 크므로 중앙부에서 크게 분포'라고 되어 있습니다. 수업 내용과 차이가 있어 무엇이 맞는지 질문드립니다.

     

    2. 압밀 개념 강의에서 delta e나 delta P 등 변화량 언급시 (나중-현재)로 계산하지 않고, 결과값이 양수로 나오게끔(절대값) delta를 활용하시는 것 같은데 어차피 최종적으로 구하고자 하는것이 변위가 아니라 압밀'침하량'이기 때문에 크기에 집중해서 그렇다고 이해했습니다. 맞나요?

     

    3. 문제와 직접적으로 연결된 질문은 아닙니다. 1-203의 문제 4번에서 점토층의 1차압밀 최종침하량을 구하라고 되어 있는데, 문제를 보시면 모래층도 포화되어 있지 않습니까? (문제에서 요구하는 것을 떠나서) 4번 문제에 주어진 상황이라면 모래층과 점토층 두 곳 모두에서 압밀이 발생하는게 맞나요?

     

    만약 모래-점토층에서의 최종 침하량을 구해야 한다면, 모래의 압밀침하량을 양면배수로 구하고 점토의 침하량은 문제에서와 같이 구해서 단순히 더하면 되는 걸까요? 뭔가 점토에서 상향으로 배수된 물과 모래에서 하향으로 배수된 물이 경계에서 갈 길을 잃을 것 같아,, 다른 방법이 있을까봐 질문드립니다.

     

    수정-확인해보니 포화되어 있더라도 모래나 실트에서는 압밀이 안일어나는 것 같네요. 그치만 혹시 모르니 교수님께서 답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홍성협 |(2021.02.15 18:19)

    안녕하십니까? 홍성협입니다.

    답변이 늦었네요~ 죄송합니다.

    답변드리겠습니다.

    1. 좋은 지적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내용처럼 교재내용이 잘못표현 되어있습니다.  연성기초는 지반의 종류와 관계없이 접지압은 균등한게 맞습니다.

    2. 질문하신 내용처럼 이해하시는게 맞습니다.

    3. 압밀은 상재하중을 가하여 점토층의 간극수를 배출시키면서 침하되는 현상입니다. 

    추가적으로 침하에 종류에는 즉시침하와, 압밀침하로 나눌수 있습니다.

    전자는 모래지반에서 그리고 후자는 점토지반에서 발생합니다.

    모래지반은 상재하중을 가하게 되면 투수계수가 크기때문에 단시간내에 침하가 일어나는 반면, 점토층은 투수계수가 작기때문에 과잉 간극수압이 증가하고 오랜시간에 걸쳐 물이 빠져나가게 됩니다. 그러므로 상재하중으로 인하여 흙속의 간극에서 물이 배출되면서 오랜시간에 걸쳐 침하되는 현상을 압밀이라고 합니다. 

    추가적으로 양면배수든 단면배수든 침하량의 변화는 없습니다. 다만 압밀시간이 차이가 납니다.

    이해가 되셨나요?

    이해가 안되시면 다시한번 질문부탁드립니다.

    새해복많이 받고 몸관리 잘하세요~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