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수리수문학을 강의하고 있는 한웅규입니다.
1. 부력은 ω'V'으로 나타내는데 ω'은 유체의 단위중량, V'은 수중에 잠긴 물체의 부피입니다. 수중의 잠긴 부피를 보게 되므로 안에 부피는 뺄 필요가 없습니다.
2. Ix는 부양면의 최소단면2차모멘트를 말하는 것이므로 작은 값에 3승을 해주셔야 합니다.
3. p.139 관로의 유속과 마찰력분포 그림을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4. 베르누이 방정식을 응용한 피토관의 정리로 풀이하시면 되겠습니다.
V=√2gH =√(2×980×250) =700cm/s
5. 둘다 맞습니다. 중력가속도를 고려하면서 9.8과 9.81의 차이가 되겠습니다.
6. 해안수리 또한 시험범위에 속하게 됩니다. 해안수리는 범위가 광범위하여 따로 강의는 없고 해당 문제와 과년도만 풀어보시면 되겠습니다.
7. ln =loge=2.3log10 입니다.
8. 2번 문제의 해설이 잘못되어 있습니다.
동수경사는 hL/L로 구하게 되는데 0.2/2로 구하시면 되겠습니다.
9. 투수계수를 구하면 0.000755601m/s가 나오게 되며 이를 m/day로 변환시키면 65.2839m/day가 나오게 됩니다.
10. 20~40은 지속시간 20분이 되지 않습니다.
11.
티센의 면적평균강우량 산정방법은 각 관측소에서 관측된 강우량에 유역내의 관측소 주위로 작도한 티센다각형의 면적 비를 가중치로 부여하여 평균강우량을 산정하는 방법입니다.
티센다각형을 작도하는 방법은 각 인접 관측소끼리 정삼각형에 가깝도록 직선으로 연결합니다. 그 다음 관측소 연결 직선을 수직이등분하여 서로 연결시키면 관측소 주위로 다각형이 형성되게 됩니다.
p.250 티센의 가중법에 설명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2. 1000mm는 1m가 됩니다.
13. 단위도란 특정 단위시간 동안 균일한 강도로 유역전체에 걸쳐 균등하게 내리는 단위유효우량으로 인한 직접유출수문곡선이라 할 수 있습니다.
유효강우량이 20mm, 10mm일 경우에는 강우가 단위시간(2시간) 간격으로 내린다는 의미이므로 유효강우량이 20mm일때의 단위도의 종거를 그리시고 단위시간(2시간)이 지난뒤에 10mm일때의 단위로를 그리시면 됩니다
직접유출수문곡선은 단위도의 총 합이므로 그려내신 단위도를 더한 종거의 최대값을 읽어내시면 됩니다.
20mm의 단위도 종거는 비례가정으로 인해 10mm 단위도 종거의 2배가 되게 됩니다.
20mm : 0, 40, 16, 6, 0
10mm : 0, 20, 8, 3, 0
------------------------------
0, 40, 36, 14, 3, 0
따라서 0, 40, 16, 6, 0이 발생하고 2시간 뒤에 10mm에 해당하는 단위도의 종거가 0, 20, 8, 3, 0가 발생하게 되므로 첨두유량은 최대 종거값이므로 40이 됩니다.
14. 합성단위도는 강우량과 유출량 자료 등 관측기록이 없는 경우 다른 지역에서 얻은 자료를 토대로 단위도를 합성하는 방법을 말합니다.
구성인자에는 강우 지속시간, 지체시간, 첨두홍수량, 기저시간이 필요하며 여기서 첨두홍수량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유역면적이 필요하게 됩니다.
명절연휴로 인하여 답변이 늦었습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