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전체메뉴
토목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토목(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수리수문학 질문입니다.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토목(산업)기사필기 시리즈 종합반 > 한웅규
글쓴이 이*경 등록일 2021.02.11 답변상태 답변완료
  • 1.p55,84번

    wV'를 구할때는 왜 안에 부피는 안빼주나요?

     

    2.p55,86번

    Ix를 구할 때 b와h가 정해져 있는 게 아니라 둘 중에 작은 걸로 고르나요?

    다른 문제에서도 그렇게 푸나요?

     

    3.p73,16번

     속도분포는 왜 포물선인가요?

     

    4.p79,19번

    동압력이 왜250인가요? 풀이과정 해설 부탁합니다.

     

    5.p151,6번

    f를 구하는 공식에서 앞장 p148에는 124.6 이라고 되어 있는데

    p151,6번에는 124.5라고 되어 있습니다. 뭐가 맞는건가요?

     

    6.p185,17번

    어느 선을 기준으로 구분하나요? 한계류 기준으로 위는 상류 아래는 사류 아닌가요?

    A와C 둘다 위에 있는데 어떻게 구분하나요?

     

    7.p192

    6장 4.해안 수리는 시험 범위에서 빠졌나요?

     

    8.p220,4번

    분모의 ln은 어떻게 계산하나요? 2.3을 곱하면 되나요? 그리고 문제에서 상용인지 자연인지 어떻게 구분하나요?

     

    9.p220,2번 5번

    i는 수두차/전체길이 인데 2번에서는 왜 2.2/2 이고 5번에서는 왜 2.8/2가 아닌 0.8/2 인가요?

     

    10.p222,11번

    sec를 day로 바꿀 때 24x60x60을 하는 거 아닌가요? 0.00076x24x60x60=65.664가 나오는데 왜 답은 65.3인가요?

     

    11.p246,1번

    지속기간20분으로 20분 단위로 끊어서 계산하는데 왜 마지막 I 25~40은 계산하지 않나요?

     

    12.p252,2번

    유역 면적을 어떻게 구하나요?

     

    13.p268,2번

    제가 생각하기에 P는 1000mm=0.1m라고 생각했는데 풀이에 1000제곱x1을 하는 이유가 뭔가요?

     

    14.p279,2번

    풀이과정 해설 부탁합니다.

     

    15.p281,11번

    합성단위유량도는 DAD+직접유출량인데 답이 2개 아닌가요? 왜 (다)는 답이 아닌가요?

     

     

  • 한웅규 |(2021.02.15 13:56)

    안녕하십니까 수리수문학을 강의하고 있는 한웅규입니다.

     

    1. 부력은 ω'V'으로 나타내는데 ω'은 유체의 단위중량, V'은 수중에 잠긴 물체의 부피입니다. 수중의 잠긴 부피를 보게 되므로 안에 부피는 뺄 필요가 없습니다.

     

    2. Ix는 부양면의 최소단면2차모멘트를 말하는 것이므로 작은 값에 3승을 해주셔야 합니다.

     

    3. p.139 관로의 유속과 마찰력분포 그림을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4. 베르누이 방정식을 응용한 피토관의 정리로 풀이하시면 되겠습니다.

    V=√2gH =√(2×980×250) =700cm/s

     

    5. 둘다 맞습니다. 중력가속도를 고려하면서 9.8과 9.81의 차이가 되겠습니다.

     

    6. 해안수리 또한 시험범위에 속하게 됩니다. 해안수리는 범위가 광범위하여 따로 강의는 없고 해당 문제와 과년도만 풀어보시면 되겠습니다.

     

    7. ln =loge=2.3log10 입니다. 

     

    8. 2번 문제의 해설이 잘못되어 있습니다.

    동수경사는 hL/L로 구하게 되는데 0.2/2로 구하시면 되겠습니다.

     

    9. 투수계수를 구하면 0.000755601m/s가 나오게 되며 이를 m/day로 변환시키면 65.2839m/day가 나오게 됩니다.

     

    10. 20~40은 지속시간 20분이 되지 않습니다.

     

    11.

    티센의 면적평균강우량 산정방법은 각 관측소에서 관측된 강우량에 유역내의 관측소 주위로 작도한 티센다각형의 면적 비를 가중치로 부여하여 평균강우량을 산정하는 방법입니다.

     

    티센다각형을 작도하는 방법은 각 인접 관측소끼리 정삼각형에 가깝도록 직선으로 연결합니다. 그 다음 관측소 연결 직선을 수직이등분하여 서로 연결시키면 관측소 주위로 다각형이 형성되게 됩니다.

    p.250 티센의 가중법에 설명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2. 1000mm는 1m가 됩니다. 

     

    13. 단위도란 특정 단위시간 동안 균일한 강도로 유역전체에 걸쳐 균등하게 내리는 단위유효우량으로 인한 직접유출수문곡선이라 할 수 있습니다.

     

    유효강우량이 20mm, 10mm일 경우에는 강우가 단위시간(2시간) 간격으로 내린다는 의미이므로 유효강우량이 20mm일때의 단위도의 종거를 그리시고 단위시간(2시간)이 지난뒤에 10mm일때의 단위로를 그리시면 됩니다

    직접유출수문곡선은 단위도의 총 합이므로 그려내신 단위도를 더한 종거의 최대값을 읽어내시면 됩니다.

     

    20mm의 단위도 종거는 비례가정으로 인해 10mm 단위도 종거의 2배가 되게 됩니다.

    20mm : 0, 40, 16, 6, 0

    10mm :       0, 20, 8,  3, 0 

    ------------------------------

                  0, 40, 36, 14, 3, 0

     

    따라서 0, 40, 16, 6, 0이 발생하고 2시간 뒤에 10mm에 해당하는 단위도의 종거가 0, 20, 8,  3, 0가 발생하게 되므로 첨두유량은 최대 종거값이므로 40이 됩니다.

     

    14. 합성단위도는 강우량과 유출량 자료 등 관측기록이 없는 경우 다른 지역에서 얻은 자료를 토대로 단위도를 합성하는 방법을 말합니다.

    구성인자에는 강우 지속시간, 지체시간, 첨두홍수량, 기저시간이 필요하며 여기서 첨두홍수량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유역면적이 필요하게 됩니다.

     

    명절연휴로 인하여 답변이 늦었습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