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공정관리를 강의하고 있는 한웅규입니다.
1. 바차트란 세로축에 작업항목이나 공종, 가로축에 시간을 취하여 각 작업의 개시부터 종료까지의 시간을 막대그래프로 표현한 공정표로 공기와 소요일수가 명확하고 공정표의 작성이 용이하며 작업의 진척도를 알기 쉬워 소규모 건설공사의 공정표로서 많이 이용되고 있습니다.
다만, 작업상호간의 관계가 불명확하여 각 작업의 관련성(작업간의 관계)이나 선행작업과 후속작업의 표현도 어려우며 작업의 여유를 알기 어려운 단점이 있습니다.
주어진 데이터를 이용하여 횡선식공정표를 작도하고 이를 이용해서 네트워크공정표를 그렸을 때 두 공정표가 논리적으로 일치하지 않는데서 비롯된 내용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반대로 주어진 데이터를 이용하여 네트워크공정표를 작도하고 이를 이용해서 횡선식공정표를 그렸을 때도 논리적으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종종 발생합니다.
그 이유는 횡선식공정표는 막대의 형태로 그려지므로 선후관계를 명확히 알기도 어렵고 누락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네트워크와의 여유관계가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바차트는 출제빈도가 낮으므로 너무 신경쓰지 마시고 공기단축이나 최적공기 산출에 대하여 학습하시기 바랍니다.
2. 자원배당에서 TF가 작은것부터 배당하라는 의미는 다시 말해 소요일수가 긴 경로부터 배당하시면 됩니다.
개시결합점에서 종료결합점까지의 경로가 총 3개(PS, Q, RT)가 존재합니다.
처음에 CP를 배당하시고 두번째는 RT(36일) 세번째는 PS(27일)경로를 배치하시면 됩니다.
3. 위에서 말씀드렸듯이 공정관리는 공기단축과 최적공기가 많이 출제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공기단축과 최적공기 위주로 공부하시고 품질관리의 내용 또한 숙지해주시면서 과년도 푸시면 무리없을듯 합니다.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하셔서 좋은 결과 있으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