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전체메뉴
토목기사 · 산업기사 전체메뉴 보기
토목(산업)기사 학습게시판 강의수강 중 학습관련 질의응답, 한솔아카데미 합격 선배의 생생한 합격수기를 제공합니다.

학습Q&A

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글보기
제목
공정관리 질문입니다
질문유형 온라인강의 > 토목기사 단기완성 종합반(6개월) > 한웅규
글쓴이 김*원 등록일 2021.03.22 답변상태 답변완료
  • 1.

    안녕하세요 교수님. Bar chart 공정표 강의에서 네트워크공정표를 바차트로 나타내는 거에 관한 질문입니다. D의 바차트를 그릴때 D의 선행작업이 A,B 이므로 A의 소요일수가 1일 증가하거나 A의 FF가 1 증거하거나 해야 할거 같은데 제가 뭔가를 잘못 이해하고 있는건가요? 설명 부탁드립니다.

     

    2.

    자원배당 첫번째 예제에서 산적도 그릴때 Cp 먼저 배치해야 하므로 Q배치하는건 이해 되는데 P S R T 배치를 뭐 부터 해야하는지 설명해주신 부분이 잘 이해가 안돼서 설명 부탁드립니다. TF가 작은거부터라고 알려주셨는게 각각의 TF를 구해야하나요?

     

    3. 

    공정관리 강의를 다 들었는데 교수님께서는 책에 있는 내용중에서 중요한것들 위주로 설멸해주신거 같은데 설명 안해주신 부분들은 과년도 풀면서 하나씩 익혀나가면 되나요?

  • 한웅규 |(2021.03.23 13:17)

    안녕하십니까 공정관리를 강의하고 있는 한웅규입니다.

     

    1. 바차트란 세로축에 작업항목이나 공종, 가로축에 시간을 취하여 각 작업의 개시부터 종료까지의 시간을 막대그래프로 표현한 공정표로 공기와 소요일수가 명확하고 공정표의 작성이 용이하며 작업의 진척도를 알기 쉬워 소규모 건설공사의 공정표로서 많이 이용되고 있습니다.

     

    다만, 작업상호간의 관계가 불명확하여 각 작업의 관련성(작업간의 관계)이나 선행작업과 후속작업의 표현도 어려우며 작업의 여유를 알기 어려운 단점이 있습니다.

     

     주어진 데이터를 이용하여 횡선식공정표를 작도하고 이를 이용해서 네트워크공정표를 그렸을 때 두 공정표가 논리적으로 일치하지 않는데서 비롯된 내용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반대로 주어진 데이터를 이용하여 네트워크공정표를 작도하고 이를 이용해서 횡선식공정표를 그렸을 때도 논리적으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종종 발생합니다.

    그 이유는 횡선식공정표는 막대의 형태로 그려지므로 선후관계를 명확히 알기도 어렵고 누락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네트워크와의 여유관계가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바차트는 출제빈도가 낮으므로 너무 신경쓰지 마시고 공기단축이나 최적공기 산출에 대하여 학습하시기 바랍니다.

     

    2. 자원배당에서 TF가 작은것부터 배당하라는 의미는 다시 말해 소요일수가 긴 경로부터 배당하시면 됩니다.

    개시결합점에서 종료결합점까지의 경로가 총 3개(PS, Q, RT)가 존재합니다.

    처음에 CP를 배당하시고 두번째는 RT(36일) 세번째는 PS(27일)경로를 배치하시면 됩니다.

     

    3. 위에서 말씀드렸듯이 공정관리는 공기단축과 최적공기가 많이 출제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공기단축과 최적공기 위주로 공부하시고 품질관리의 내용 또한 숙지해주시면서 과년도 푸시면 무리없을듯 합니다.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하셔서 좋은 결과 있으시길 바랍니다.

목록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