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학습게시판 > 학습Q&A
필기책에는 인장 균열이 발생하면 인장균열 깊이까지의 흙은 상재하중으로 간주하고, 흙의 점섬은 고려하지 않는다고 나와 있는데, 실기 책을 보니 두가지의 경우로 나뉘어 놨더라구요... 어떤경우에는 상재하중으로 간주하고 어떤경우에는 상재하중을 무시하나요?
또,
문제의 경우, 정지토압이라고 생각 들었는데, 저 경우 정지토압, 주동, 수동 다 고려해줘야해서 답이 라번 인것인가요?
1.
아래 링크를 참고하세요
https://civil.inup.co.kr/post/read.jsp?id=1381
2. 정규압밀상태에 흙은 주동상태 또는 수동상태에 따라 수평토압이 연직방향 토압보다 클 수도 있고, 작을 수도 있습니다
님께서 질문하신 토질및기초 문제는 최근 토목기사필기 시험에서는 출제되지 않으므로 그냥 넘어가도 됩니다.
이 게시판은 토목기사 필기 및 실기시험에 대한 게시판입니다
공사 또는 공무원시험 그리고 전공심화관련 내용에 대한 질문은 다른 경로를 이용하기 바랍니다.
목록